2010년 5월 4일 화요일

전환사채의 기본개념 및 회계처리

2007-05-09 14:17 | 조회 1343 | 출처: http://cafe.daum.net/gosilove
전환사채


1. 전환사채의 의의


(1) 전환사채
① 사채권자의 선택에 따라 보통주 or 우선주로 전환할 수 있는 권리가 부여된 사채
② 주식과 사채의 성격을 공유하는 증권
③ 전환권이 부여되어 있기 때문에 일반사채보다 표시이자율이 낮게 발행
④ 전환권은 사채권자에게 부여된 권리 → 현실적으로 전환가능성 예측 × 발행회사는 이를 부채
⑤ 기준도 전환사채를 부채로 분류


(2) 발행회사입장에서 전환사채의 장단점 비교

장 점

① 금융비용의 절감
② 전환되면 상환의무 ×
③ 기업재무구조개선
④ 적대적인 인수합병에 대한 방어수단

단 점

① 기존주주 지분율 하락
② 주가하락
③ 경영권이 불안정하게 될 가능성
④ 발행 및 전환에 따른 절차가 복잡



(3) 투자자의 입장

장 점

① 안정적인 이자수익보장
② 주가상승시 전환함으로서 매매차익을 노림
③ 기업성과 좋은 경우 전환시 고배당 기대

단 점

① 사채의 표시이자율이 낮다]
② 주가가 낮은 수준 or 기업의 성과가 불량하면
전환할 수 없다.



2. 전환사채의 발행


(1) 발행조건 ~ 발행조건에 따라 액면가액과 다른 가액으로 발행될 수 있고, 할인(할증)차금은
액면가액과 발행가액의 차이로 산정


(2) 상환조건 : 만기상환시 상환할증금의 지급유무에 따라 액면상환조건과 할증상환조건으로 구분
① 액면상환
② 할증상환 ~ 만기상환시 사채원금뿐만 아니라 보장수익률을 기초로 산정된 복리이자를
상환할증금으로 지급하는 조건
※ 보장수익률 : 만기까지 전환권을 행사하지 않은 사채권자에게 발행회사가 보장해 주는 수익률


(3) 전환사채의 발행가액
① 전환사채 : 전환권이 부여되어 있기 때문에 투자자의 입장에서 동일한 표시이자조건의 일반사채
보다 유리한 투자가 된다.
② 전환사채 발행가액 = 일반사채 발행가액 + 전환권가치


(4) 전환권대가의 회계처리방법
(가) 이론
① 전환가치인식법 : 전환사채와 별도구분하여 주주지분의 일부로 계상하는 방법
② 부채법(무인식법) : 전체금액을 부채로 계상하는 방법
(나) 기준 ① 부채법 채택 ② 일반사채와 동일하게 처리



3. 전환사채의 평가


(1) 사채의 액면가액과 장부가액의 차이는 유효이자율법 적용 → 사채기간동안 상각(환입)


(2) 할증상환조건으로 발행된 전환사채 → 상환할증금으로 인한 추가적인 이자비용 인식
i
① 현금으로 지급되는 액면이자
② 사채발행차금상각(환입)액
③ 상환할증금 배분액 ☜


4. 전환사채의 전환
① 전환되면 전환사채감소, 자본이 증가
② 전환에 따라 증가하는 자본액을 측정하는 문제


(1) 이론


(가) 장부가액법 : 전환사채의 장부가액으로 자본증가액을 측정하는 방법
① 기업실체이론에 입각할 때 전환이란 지분간의 단순한 교환
즉, 미완성거래이기 때문에 전환에 따른 손익인식할 수 없다 (단일거래)
② 기업의 경제적 실질에는 변화가 없다.
③ 측정치의 신뢰성 확보 (장부가액이 시가보다 더 객관적인 측정치이기 때문)
④ 전환사채의 수익창출과정이 종료되지 않았다.


(나) 발행가액법 : 전환사채의 최초발행가액으로 자본증가액을 측정하는 방법




(다) 시장가치법 : 전환으로 발행되는 주식의 시가로 자본증가액을 측정하는 방법
☞ 전환에 따른 손익인식
① 전환시 주식을 시장가치로 발행, 그 자금으로 전환사채를 상환하는 이원거래
② 거래당시의 공정한 시장가치로 교환거래측정을 할 수 있다.
③ 전환사채의 수익창출과정이 종료되었다.
④ 자본주이론에 입각


(라) 전환사채시가법 : 전환사채의 시가로 자본증가액 측정하는 방법


(마) 기업회계기준
① 상법이 발행가액법이므로 기준도 발행가액법
② 전환시점이전까지의 사발차상각액과 미지급이자비용인식액 중 전환된 부분에 해당하는 금액
☞ 당기손익으로 계상



(차) 전환사채 xxx
장기미지급비용 xxx

(대) 자본금 xxx 주발초 xxx
(발행가액 … 전환사채 최초발행가액)
사할차 xxx
전환사채전환이익 xxx



5. 전환사채의 상환


(1) 만기상환
① 상환할증금을 지급하지 않는 전환사채 : 장부가액 = 액면가액 ∴ 상환손익 ×
② 할증금 지급 : 할증금은 매년 계상해 온 장기미지급비용과 상계 ∴ 상환손익인식 ×


(2) 조기상환
① 조기상환시 상환손익 발생 可
② 상환가액과 상환시점의 장부가액의 차이로 측정 ? 기준
③ 전환사채의 현금상환 (부채거래 : 상환손익은 당기손익, 자본거래 : 상환손익은 자본잉여금)

댓글 없음:

댓글 쓰기